회사 : 취업, 재직, 이직, 퇴사7 2023 최저임금 알아보기, 주휴수당 폐지 / 2023 최저임금 월급, 2023 최저임금 계산, 2023 최저임금 월급 계산, 2023 최저임금 연봉, 2023 최저임금 실수령액, 주휴수당 폐지 월급 최저임금은 근로자의 생활 안정과 노동력의 질적 향상을 위해 근로자가 받는 임금의 최저 수준을 보장하는 제도입니다. 2022년 8월 5일 2023 최저임금이 9,620원으로 고시되었습니다. 이후 12월 12일 미래노동시장연구회가 주휴수당 폐지 등 임금 체계 개편을 포함한 노동시장 개혁 권고안을 발표함에 따라 논란이 일었는데요. 추후 윤석열 정부 산하 노동부는 이 권고안을 검토한 후 정부의 입장을 정하고, 노사의 의견을 들을 것이라 밝혔습니다. 2023 최저임금과 주휴수당 폐지에 대한 자세한 내용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차례 1. 2023 최저임금 2. 2022 최저임금 VS 2023 최저임금 3. 주휴수당 폐지 4. 2023 최저임금 계산기 1. 2023 최저임금 2023 최저임금은 2022 최저임금인 .. 2022. 12. 16. 2023 연봉 실수령액 표 / 2023 연봉 계산기, 연봉 실수령액 계산, 연봉 실수령액 계산 방법, 2023 4대 보험요율 2023년에는 연봉 실수령액이 어떻게 바뀔까요? 연봉 실수령액은 연봉에서 국민연금, 건강보험(장기요양보험), 고용보험, 소득세, 지방소득세를 뺀 금액입니다. 2023년에 4대 보험요율 중 건강보험(장기요양보험) 요율이 인상됨에 따라 같은 연봉이라도 2022년보다 적은 연봉을 받게 됩니다. 따라서 2023 연봉 실수령액 표를 꼭 확인하신 후에 연봉 계약과 연봉 협상을 진행하시길 바랍니다. 차례 1. 2023 4대보험요율 2. 2023 연봉 실수령액 표 3. 2023 연봉 계산기 1. 2023 4대보험요율 2023년 국민연금 요율은 9%로 동결되어 2022년과 동일합니다. 건강보험 요율은 0.1% 인상되어 7.09%, 장기요양보험 요율은 0.54% 인상되어 건강보험의 12.81%, 고용보험 요율은 1.8%로.. 2022. 12. 15. 퇴직금 빠르게 조회하기 1 / 금융감독원 퇴직 연금 조회, 숨은 돈 찾기, 퇴직 연금 조회, 퇴직금 조회 방법, 숨은 퇴직금 찾기, 연금 조회 퇴직금을 빠르게 조회하는 방법, 숨은 퇴직금을 찾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퇴직금을 조회하기 위해서는 금융감독원 홈페이지에서 회원 가입 후 3일의 시간이 소요되므로 미리 회원 가입을 해두시면 좋습니다. 퇴직금 지급 기준 및 계산 방법이 궁금하시거나 퇴직금 계산기를 사용하고 싶으신 분들은 아래 링크를 참고해 주세요. 퇴직금 빠르게 확인하기 / 퇴직금 계산기, 지급 기준, 계산 방법, 지급 기한 총정리 1. 금융감독원에서 회원 가입하기 아래 금융감독원 링크로 들어가시면 우측 상단에 회원 가입 버튼이 있습니다. 회원 가입 버튼을 눌러 회원 가입을 합니다. 금융감독원 홈페이지 바로가기 https://100lifeplan.fss.or.kr/main/main.do 2. 3일 후 금융감독원 재방문하여 로그인하기.. 2022. 12. 12. 퇴직금 미지급 신고하기 / 퇴직금 미지급 처벌, 퇴직금 미지급 형사 처벌, 퇴직금 미지급 처벌, 퇴직금 미지급 수령 방법, 퇴직금 미지급 사유, 퇴직금 못 받았을 때 퇴직금 미지급 신고 및 진정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퇴사 후 퇴직금을 받지 못하신(퇴직금 미지급) 분들은 상세 내용을 꼼꼼히 확인하시고 진정, 고소 절차를 밟으시길 바랍니다. 퇴직금 지급 기준과 계산 방법이 궁금하시거나 퇴직금 계산기를 사용하고 싶으신 분들은 아래 링크를 참고해 주세요. 퇴직금 빠르게 확인하기 / 퇴직금 계산기, 지급 기준, 계산 방법, 지급 기한 총정리 1. 퇴직금 지급 기한 고용주는 퇴사일로부터 14일 내에 퇴직금을 지급해야 하며 특별한 사정이 있는 경우에는 고용주와 퇴사자의 합의에 따라 지급 기일을 연장할 수 있습니다. 고용주가 퇴직금을 기한 내에 지급하지 않는 경우 연 20%의 이자가 퇴직금에 붙게 됩니다. 2. 고용노동부에 진정하기 퇴직금을 지급 기일 내에 지급받지 못한.. 2022. 12. 11. 이전 1 2 다음